1. 개요

  • 서명: 수운잡방 (需雲雜方)
  • 편자: 김유 (金綏, 16세기 인물, 본관은 안동)
  • 저술 시기: 약 1540~1560년경 (추정)
  • 문헌 분류: 조리서(음식 조리법 수록 문헌), 의서적 성격 일부 포함
  • 전달 형태: 한문 필사본 (현존하는 필사본은 일부만 남아 있음)

2. 저자 및 역사적 배경

  • **저자 김유(金綏)**는 안동 김씨 가문 출신으로, 조선 중기의 양반 지식인이자 향촌 사대부 계층에 속했습니다.
  • 그는 향촌 사회의 실제적 생활 지식, 즉 농사, 음식, 의료, 주거 등에 이르기까지 삶에 필요한 실용지식을 체계화해 후손에게 전하고자 했습니다.
  • 《수운잡방》은 이 같은 실용적 목적에서 집필되었으며, 귀족 여성들과 여성 가계를 위한 ‘생활백과’ 성격을 지닌 문헌으로 평가됩니다.

3. 구성 및 내용

《수운잡방》은 다양한 식품 제조법과 의약적인 요법을 망라하고 있으나, 가장 주목받는 부분은 음식 조리법입니다. 대략적인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음식 조리법

  • 밥, 죽, 국, 찌개 등의 일상 음식
  • 떡, 과자, 전유어, 전골 등 특별한 날에 사용하는 음식
  • 장(醬), 초(醋), 젓갈 등의 저장식품 제조법
  • **술(주방문; 酒方文)**의 종류와 제조법 (막걸리, 약주, 소주 등 포함)

2) 의약 및 건강식

  • 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쓰이는 식이요법
  • 약선(藥膳) 개념이 일부 포함되어 있음

3) 기타 생활 정보

  • 비누, 향, 장 담그는 법 등 실생활 지식
  • 동물 사육, 저장법, 음식 보관법 등 포함

4. 특징 및 의의

1) 현존하는 한글 조리서보다 이른 시기의 문헌

  • 《수운잡방》은 한문으로 쓰인 가장 이른 시기의 조선 사대부 가정식 조리서 중 하나입니다.
  • 이후 나온 《음식디미방》(1670년대)보다 약 100년 앞섰습니다.

2) 향촌 여성의 실용 지침서

  • 당시 양반가 여성들이 가사를 운영하고 음식·건강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실제적 지침서로서 쓰였습니다.
  • 교육적 목적과 후손 전승을 위한 목적이 강했습니다.

3) 다양한 술 제조법 수록

  • 막걸리, 약주, 소주(증류주) 등 전통 주류의 제조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주류문화 연구의 주요 자료로 쓰입니다.

4) 생활문화사적 가치

  • 단순히 조리법을 넘어 16세기 조선 양반가의 식문화·생활문화·건강관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5. 대표적인 음식 조리 예시 (수운잡방에서 발췌)

분류예시설명
떡류 유밀과 밀가루에 꿀과 기름을 넣어 만든 과자류
국류 꿩탕 꿩을 삶아 만든 국물 요리
장류 간장담기 메주를 이용한 간장 제조법
주류 소주방문 누룩을 이용한 소주 증류법
저장식 김치 담그는 법 계절별 재료와 염도 조절 방식 등 기록
 

6. 후대에 끼친 영향

  • 《음식디미방》, 《규합총서》, 《시의전서》 등의 한글 조리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됩니다.
  • 특히 술과 장(醬) 관련 기술은 후대 여성들이 계승한 전통 제조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7. 학문적 활용

  • 음식문화사, 조선시대 여성생활사, 농업경제사, 약선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 현대에는 전통음식 복원 및 향토음식 개발, 슬로우푸드 운동 등에도 참고되고 있습니다.

8. 참고문헌 및 연구자료

  • 이숙기, 《조선시대의 전통 조리서 연구》, 한국음식문화학회
  • 조영숙 외, 《한국 조리서 연구》, 교문사
  • 국립민속박물관, 《전통 조리서 해제집》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 DB 내 필사본 수록 (일부) 

📌 《수운잡방》의 주요 키워드

🍚 음식 관련 키워드

  • 밥짓는 법 (숙미법, 미불법)
  • 죽/국/탕 (죽, 꿩탕, 조개국 등)
  • (증편, 백설기, 인절미, 유밀과 등)
  • 전/부침 (전유어, 산적)
  • 장류 (간장, 된장, 청장, 장 담그는 법)
  • 젓갈 (어장, 어패류 염장)
  • 김치류 (저장법 포함)
  • 초(식초) 담그기
  • 건조/훈제/절임 음식 (보존식)

🍶 술 관련 키워드

  • 주방문(酒方文) – 술 만드는 방법 총칭
  • 청주 (맑은술)
  • 탁주 (막걸리)
  • 소주 (증류주, 전통 소주 증류법)
  • 약주 (약용 술, 약재 첨가)
  • 누룩 제조법

🧂 양념/저장 식품

  • 간장 담그기 (수장법)
  • 된장 발효
  • 식초 제조
  • 고추장/초장 종류는 등장하지 않음 (시기상 도입 전)

🧑‍⚕️ 약선/건강 관련 키워드

  • 약선음식 (병을 예방하는 음식)
  • 보신식품 (닭, 꿩, 사슴고기 등 사용)
  • 체질 고려 음식
  • 약물 보관법

🏺 생활/기술 관련 키워드

  • 장독 관리 (독 세척, 햇빛 쬐기)
  • 메주 만들기
  • 발효 관리 요령 (온도·습도 관리)
  • 향 만들기, 비누 만들기, 생활잡용법
  • 곡식 저장법, 곡물 건조법

+ Recent posts